글번호
18008
작성일
2020.07.10
수정일
2020.07.10
작성자
한국학연구소
조회수
421

동아시아한국학 연구총서 25

동아시아한국학 연구총서 25 첨부 이미지
부제목
한국문학과 보편주의
발행처
조강석
발행일
2017. 5. 22.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

- 목차

간행사

머리말

 

제1부 보편주의와 심미적 가상 그리고 실재에의 열망

도착적 보편과 마주선 특수자의 요청: 김기림의 경우

1. 애도 작업(Trauerarbeit)과 로고스의 문제

2. ‘근대’라는 대문자 타자(Autre, the Other)

3. 근대의 결산

4. 지연되는 요청으로서의 보편

 

해방기 김기림의 의식 전회 연구: 보편주의와 특수주의를 중심으로

1. 근대의 결산 혹은 지연된 요청으로서의 보편

2. 근대의 청산과 실재의 정화작업

3. 근대의 재결산과 이중구속

4. 실재의 공제

5. 결론을 대신하여

 

해방기 시론의 보편주의 연구: ‘실재에의 열망’을 중심으로

1. 복수의 보편주의와 실재를 향한 열망

2. 실재의 정화작업과 보편의 구제: 김기림의 경우

3. 실재의 정화와 심미적 보편주의: 조지훈의 경우

4. 생활의 귀납과 감산적 보편주의: 김동석의 경우

5. 결론을 대신하여

 

보편성과 심미적 가상 그리고 공동체: 백석과 김수영의 시에 나타난 ‘사랑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1. 보편성 없는 공동체 혹은 부재하는 공동체

2. 심미적 공동체

3. 소통(교통, communication)의 실패와 사랑의 현상학

4. 공동체를 향한 정념

5. 무위와 미완의 공동체, 그리고 사랑의 변주와 시의 영구혁명

6. 민주주의와 공동체의 ‘토대 없음’과 문학: 결론을 대신하여



제2부 한국시와 근대가 교섭하는 방식

정지용 초기시에 나타난 근대의 ‘감성적(ästhetisch)’ 전유 양상 고찰

1. 낯선 자극과 감성적 인지

2. 정지용의 시에서 감각, 정서, 감성의 의미

3. 근대의 감성적 순치

4. 근대의 감성적 전유

5. 결론

 

이상의 「오감도」 연작에 개진된 알레고리적 태도와 방법 연구

1. 파토스의 영점(零點)과 슬픈 투시벽

2. 「오감도」 연작의 시사적 맥락

3. 알레고리에서 가치의 탈취와 상승

4. 「오감도」 연작에 나타난 알레고리적 태도와 방법

5. 결론

 

한국 근대시에서 절망과 기교가 교섭하는 두 가지 방식: 이상과 김춘수를 중심으로

1. 문학사가로서의 김춘수와 전범(典範)으로서의 이상

2. 절망과 기교의 두 가지 교섭 방식

3. 「꽃나무」로부터 「절벽」으로: 절망의 재귀적 운동

4. 억압된 ‘방심상태’의 회귀와 무의미시

5. 무의미시와 「처용단장」 사이의 긴장

6. 결론

 

김수영과 시각(視覺)의 문제

1. 근대성과 시각

2. ‘속지 않고 보기’와 시선의 재정향(再定向)

3. ‘응시(the gaze)’, 그리고 불안과 저항

4. 근대적 시각장의 균열과 ‘바로 봄’

 

제3부 시민적 윤리와 대중적 욕망의 문학적 교환

1960년대 문학 텍스트에 나타난 시민적 윤리와 대중적 욕망의 교환

1. ‘일반의지’의 왜곡과 불복종의 간극

2. ‘정동’이라는 렌즈

3. 1960년대의 이항대립과 정동: 시민적 윤리와 대중적 욕망의 간극

4. 당위와 현실 그리고 간극의 이행

5. 결론을 대신하여

 

신동엽 시의 민주주의 미학 연구: 무엇을 희망해도 좋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