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62523
작성일
2022.02.16
수정일
2022.02.16
작성자
한국학연구소
조회수
270

동아시아한국학연구총서 30

동아시아한국학연구총서 30 첨부 이미지
부제목
옛이야기의 귀환 한국문학에서 스토리텔링까지
발행처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발행일
2020.05.11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

근대사회에 대응하는 리얼리즘적 정합성을 최고의 판단 기준으로 삼았던 세대의 시각으로는 최근 신화, 판타지, SF 등을 주축으로 한 이야기의 폭발적 증가가 당혹스러운 것이 얼마간 사실이다. 그러나 『옛이야기의 귀환: 한국문학에서 스토리텔링까지』는 신화, 민담, 전설 등의 옛이야기를 바탕으로, 그리고 문학과 연극 등의 근대적 자산을 바탕으로 옛것들이 현대에 이르러 어떻게 소환되고 변형되고 재창조되는지를 따져본다.


목차

머리말

스토리텔링: 옛이야기의 귀환
민중적 삶의 진실과 무의식
부들이와 빡빡이: 서정주의 「남백월이성」
프로메테우스와 노구할미: 채만식의 「제향날」
아버지와 아들: 함세덕의 「동승」
평강공주와 바보 온달: 최인훈의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호동왕자와 낙랑공주: 최인훈의 「둥둥 낙랑둥」
세조와 단종: 상처와 해방의 서사
왕과 광대: 진짜와 가짜의 대립
기호학과 구조주의: 「헨젤과 그레텔」
미녀와 야수: 한국적 변형의 의미
신화적 상상력: 봉준호의 「설국열차」에서 「기생충」까지
한국문학 속의 미디어: 신문에서 인터넷까지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