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7684
작성일
2015.03.09
수정일
2020.07.10
작성자
한국학연구소
조회수
385

동아시아한국학 번역총서 2

동아시아한국학 번역총서 2 첨부 이미지
부제목
다산의 사서학-동아시아의 관점에서
발행처
차이전펑, 김중섭.김호 옮김
발행일
2015.01.12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

다산학의 중요한 개척자로 알려진 대만학자 차이전펑 교수가 『여유당전서』를 비롯한 수많은 1차 사료를 분석하여 다산 정약용(1762~1836) 사서학의 전체적인 이론구조와 해석 방법을 집대성한 역작이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다산학의 면모를 동아시아라는 보다 넓은 시야에서 주목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그동안 한국의 학자들이 착목하지 못했던 것이다. 그 중에서도 대진(1724~1777) 등의 중국학자와 일본 고학파 이토 진사이(1627~1705), 오규 소라이(1666~1728)의 사서 해석과 대조하여 다산 정약용 사서학의 특출한 점을 부각시킨 것이 압권이다. 이 책은 이론적 차원에서 다산의 사서학과 주자학, 일본 고학파와의 차이를 밝힌다. 또한 다산의 서학에 대한 수용, 다산학 가운데 근대 의식 및 조선중화주의에 대해서도 실증하고 있다. 



-- 목차 --


한국어판 머리말

추천의 글


1장 문제와 방법

1. 사서학의 방법 개념

2. 시대의 전환과 주희 사서학의 변화

3. 동아시아 학술에서 정약용의 의미


2장 주희와 정약용, 사서 해석의 차이

1. 주해의 내용과 해석의 방향

2. 『논어』의 관중에 대한 평가

3. 의리 지향과 의의 지향의 해석 체계

4. 사서의 텍스트 구조 내에 포함된 두 가지 해석 체계


3장 정약용의 인성론과 수사학, 주자학 및 서학의 차이

1. 정약용의 입장에 대한 두 가지 견해

2. 정약용 성기호설의 연원과 특색

3. 정약용의 심성론과 상제에 대한 이해

4. 정약용 사서학 중 성삼품설의 이론적 위치

5. 맹자의 심성론으로 회귀하는 정약용의 인성론


4장 정약용의 사서 해석 중 ‘인, 심, 성, 천’의 이론적 의미

1. 공자의 인학설에 들어 있는 중요한 개념들

2. 정약용의 인학설 중 ‘상호 주체’의 동태적?정태적 측면

3. 주체성에서 상호 주체성으로, 기호의 ‘성’과 인을 할 수 있는 ‘이’

4. ‘성, 도, 교’의 해석 구조하의 ‘천인’ 관계와 정약용 사상 중 ‘천’의 이론적 지위

5. 인학설과 사천철의 주체성, 상호 주체성 그리고 초월성에 대한 탐구


5장 주체성과 상호 주체성의 전개, 정약용의 문질론

1. ‘예악형정’을 중심으로 하는 유학 해석과 정약용의 논술 경향

2. ‘문질’ 문제에 대한 조선 학자의 세 가지 해석 경향

3. 성호 이익의 ‘충, 질, 문’에 대한 고찰과 그 영향

4. 정약용의 문질론

5. 정약용의 문질론의 가치


6장 정약용 『중용』 해석의 특색, 일본 고학파와의 비교

1. 『중용』에 대한 질의와 위치 설정

2. 일본 고학파의 『중용』에 대한 해석

3. 이토 진사이와 오규 소라이의 『중용』 해석의 사상사적 의미

4. 비교의 관점에서 본 정약용의 『중용』 해석

5. 정약용과 일본 고학파의 해석상의 차이

6. 정약용의 일본 고학파에 대한 태도


7장 정약용의 『대학』 해석과 사서학 구조

1. 『대학』의 가치와 일본 고학파의 견해

2. 정약용의 『대학』 해석

3. 정약용의 『대학』 해석으로 본 『사서』 해석 구조

4. 정약용ㅇ의 사서학에 대한 전체적 구상


8장 결론

1. 정약용 사서학의 출현이 지닌 의미

2. 정약용의 사서학은 ‘포스트 주자학’이다

3. 정약용의 사서학의 조선 중화주의와 근대 의식 


옮긴이 후기

참고 문헌

미주

찾아보기